이지웰페어, SK 베네피아, 공무원연금공단, e제너두 ‘각축’… ‘불공평 혜택’ 지적

청와대, 국회, 금감원, 한국은행, 서울시 등 복지 포인트 받아

‘신의 직장’에 복지 혜택까지… “지나치다” 비판도

선택적 복지 서비스 업체 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기업이나 기관이 복지예산을 갖고 같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서 직원들에게 똑같이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각 직원에게 복지 예산을 배분해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나 물건을 살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공무원이나 직장인들은 포인트 형태로 배분된 복지예산을 받아 지정된 폐쇄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나 물건을 구매하면 된다.

이 제도는 공무원들이나 직장인들에게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많은 정부기관, 공기업, 대기업들이 선택적 복지제도를 받아들였다. 공직사회에서는 선택적 복지제도가 아닌 맞춤형 복지제도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정부기관이나 공기업 직원들이 이른바 ‘신의 직장’에 다니고 있으면서 복지혜택까지 챙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복지 포인트는 선출직이 아닌 공무원들은 모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청와대 비서실이나 경호실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도 받을 수 있다.

2014년 결산 기준으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은 1인당 약 65만 원을 받았고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1인당 58만 원에서 236만 원을 받았다.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은 선택적 복지 서비스 위탁회사와 계약을 맺고 선택적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 선택적 복지 서비스 업체 중 주요 업체들은 이지웰페어, 베네피아(SK엠앤서비스), 공무원연금공단, e-제너두 정도다.

‘업계 대표 주자’ 이지웰페어

선택적 복지시스템 업계의 대표주자는 이지웰페어다. 업계에선 이지웰페어의 시장점유율이 대략 50% 정도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지웰페어는 2013년 12월 27일에 코스닥 상장됐으며 지난해 매출액은 523억 원이었다.

이지웰페어는 복지사업 외에 헬스케어사업과 글로벌 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이지웰페어 복지서비스(이지웰)는 중앙부처로는 국회사무처가 쓰고 있고 교육청 중에선 인천교육청, 대구교육청, 강원도교육청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코레일 등 공기업들도 이지웰 서비스를 쓰고 있다.

이지웰페어의 3분기 누적 사업실적은 상당히 좋아졌다.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연결 실적은 매출액 401억원, 영업이익 32억원, 당기순이익 19억원이다. 별도 실적은 매출액 376억 원, 영업이익 45억원, 순이익은 32억원이었다. 3분기 누적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3.5%, 순이익은 42.5% 늘었다. 같은 기간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보면 영업이익이 49.2%, 순이익은 49.7% 증가했다.

이지웰페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머스와 복지서비스 부문의 관리지표를 개발하고, 성과 보상 체계를 강화했다. 운영 효율성 및 고객 편의성을 강화하도록 이지웰 복지플랫폼을 통합 개편했다. 이렇게 시스템을 개선해 비용 효율성을 높였고 매출도 끌어 올렸다.

또 온라인 복지관의 가전, 스포츠, 패션 등 카테고리를 확대시켜 서비스를 다양화했다. 최저가 상품을 판매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등 주력 사업인 선택적 복지사업 성장에 힘을 모았다.

베네피아 등 경쟁사도 ‘복지’ 사업 치열

이지웰페어의 가장 강력한 경쟁사가 베네피아다. 베네피아는 SK엠앤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베네피아는 600여개 고객사의 회원 복지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고 IDC(인터넷데이터센터)를 자체 운영 관리하고 있다.

올해 6월 SK플래닛은 재무건전성 강화와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베네피아 사업부문을 SK엠앤서비스에 양도했다. 양도 시 베네피아 자산총액은 86억원, 연간 매출액은 83억원 정도로 책정됐다.

SK엠앤서비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1738억원이었으며 당기순이익은 50억 원이었다. SK엠앤서비스는 SK플래닛이 지분 전량을 갖고 있는 회사다.

베네피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공공기관으로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남도 등이 있다. 민간기업 중에선 하나은행, 메리츠금융그룹, 신한생명 등이 베네피아 서비스를 쓰고 있다.

공무원연금공단도 선택적 복지서비스를 하고 있다. 공무원연금공단 선택적 복지서비스의 정확한 명칭은 ‘맞춤형 복지 시스템’이다.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 복지 시스템은 총 74개 정부 기관이 사용하고 있다. 중앙행정기관이 38개, 헌법기관(감사원, 대법원) 2개, 위원회가 9개, 시도교육청 13개, 지자체 12개까지 합쳐 총 74개다.

공무원연금공단 관계자는 “중앙행정기관 중 1~2개 기관만 빠져 있다”며 “청와대에선 대통령비서실하고 경호실이 들어와 있다”고 말했다.

공무원 복지 포인트는 선거로 취임하는 공무원들에게는 지급되지 않는다. 국회 보좌진들의 경우 국회사무처 소속으로 복지 포인트를 받는다.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관계자는 “공무원으로 임용된 것이기 때문에 대통령 비서실장은 서비스 대상에 해당된다”며 “선거로 취임한 공무원들이나 지자체장들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고 군인들도 군인연금법 대상이므로 해당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맞춤형 복지 시스템에 입점하는 쇼핑몰들은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심사를 통과한 것들이다. 내부위원과 외부위원으로 구성된 심의위원회가 제안서를 심의하며, 합격이 되면 맞춤형 복지 시스템에 연결된다. 제품 가격은 일반 온라인 몰에 비해 3~5% 정도 저렴하다.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맞춤형 복지는 공무원들만 대상으로 하므로 공기업 직원들은 사용할 수 없다.

한편 e-제너두는 업계 최초로 선택적 복지 서비스를 실시한 기업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50억원이었고 약 46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신의 직장’ 직원에 복지 혜택까지 주나

대기업 직원들이 혜택을 받는 것은 어쩔 수 없으나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이 큰 혜택을 받는 것은 지나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이 국민들이 납부한 돈으로 운영되는 ‘신의 직장’에서 일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서민들이 낸 세금으로 급여를 받고 있는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이 지나친 혜택을 받는 것은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제조업체나 납품업체가 일반소비자를 상대로 장사를 해서 벌어들인 돈을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 같은 특별한 소비자에게 특혜를 주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김영훈 바른사회시민회의 경제실장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민간 업체가 사내 직원을 위해 복리후생 차원에서 저렴하게 팔 수는 있지만, 공공부문에서 자신들만 쓸 수 있는 폐쇄몰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의문”이라며 “또 일반 소비자와의 형평성이란 측면에서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곽호성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