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이 3개월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주간한국 장서윤 기자]잡힐 줄 모르던 집값이 과연 상승세를 멈추고 새로운 변곡점을 맞은 것일까. 지난해부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여오던 서울 아파트값이 최근 두달 새 주춤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관련 기관들의 집값 동향을 살펴보면 최근 들어 아파트값 상승폭이 줄거나 가격을 낮춘 매매거래가 늘고 있다. 실제로 수도권 아파트값은 5주 연속 상승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집값이 오를 대로 오른 데다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의 여파로 시장 전반에 관망세가 펼쳐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 아파트값, 두 달간 상승폭 줄어들어

지난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18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값은 0.30% 올라 전주(0.32%)보다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 8월 셋째 주부터 9월 둘째 주까지 5주 연속 0.40% 상승해 부동산원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후 9월 셋째 주부터는 상승폭이 점차 줄어들며 5주째(0.36→0.34→0.34→0.32→0.30%)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서울 아파트값도 최근 두 달간 상승폭이 줄었다. 8월 넷째 주 0.22%를 기록한 이래 서서히 줄어들어 10월 둘째 주와 셋째 주는 0.17%를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아파트값이 고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가계대출 총량규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매수심리가 위축됐다”라며 “도심권 인기단지나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유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방 역시 5대 광역시를 비롯해 전지역의 상승폭이 감소했다. 이처럼 상승세가 계속될 것만 같았던 집값이 다소 꺾이는 조짐이 보이자 앞으로의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백광제 교보증권 수석 연구원은 “10월 들어 수도권 전역 주택 전세 물건 증가에 이어 매도 물량도 증가하는 모습으로 지난해 임대차법 시행 이후 늘어난 하급지 이주 수요 마무리와 2기 신도시 등 수도권 입주 물량 증가가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분석했다. 백 연구원은 이어 “이후로도 하락세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며 “기존 실거래가와 신규 호가간 괴리가 여전한 모습이지만 금융비용, 자금 마련 리스크 및 공실 리스크 증가로 임대 물건 가격 하락 압력이 가중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집값, 상승세 멈추고 조정국면 들어갔나

일부에서는 집값이 이제 상승세를 멈추고 조정국면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김부겸 국무총리는 부동산 정책에 대해 원칙을 지킨 것이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총리는 지난 20일 연합뉴스TV ‘뉴스1번지’에 출연해 △공급 확대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지원 △투기 등 다른 시장 교란 요인 차단 등 세 가지 원칙 지킨 것이 부동산 시장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총리는 “고액 아파트와 소형 매물 등에서 부동산 가격 하락이 나타나고 있다”며 “일부 전문가들은 고점을 찍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5일 국회 국감에 출석해 “최근 부동산의 가파른 오름세는 일단 주춤하면서 꺾였다고 판단한다”라며 “9월 말 3∼4개 지표는 그렇게 (꺾인 것으로)보여 조심스러우나 오름세 심리는 주춤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인한 일시적 현상…더 지켜봐야”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같은 부동산 가격 주춤세가 현재는 강력해진 대출 규제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집값 상승세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지에 대해서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이다. 부동산 R114 임병철 연구원은 대출 옥죄기에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임 연구원은 “금리인상과 대출 축소에 이어 가계부채 추가 대책이 예고되면서 매수세가 다소 줄어든 분위기”라며 “다만 서울의 강서o구로o강북o노원 등 상대적으로 아파트값이 저렴한 지역의 상승세는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강민석 KB 경영연구소 박사는 장기적인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Δ실수요자의 수요 여력 정상화 Δ투기 수요 관리 강화 및 차단 Δ임차 시장 안정화 Δ안정적 공급체계 마련 Δ중장기 주택시장 관리 등 5개 정책 방안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강 박사는 지난 13일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주택 정책 모색’ 세미나에서 “고강도의 부동산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대출 규제가 지금보다 훨씬 간소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박사는 “실수요자를 위해 중장기적으로는 대출 규제를 간소화 하면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중심에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서윤 기자 ciel@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