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구정 가옥 전경
깊은 겨울이면 산골마을 고택들은 정겨움을 더한다. 강원도 영월에는 길손을 반기는 따뜻한 전통한옥들이 있다. 주천면의 조견당과 남면의 우구정가옥은 백년세월을 넘어 영서지방의 세월과 향취를 담아낸 옛집들이다.

고택여행은 툇마루에 내려앉은 햇살처럼 따뜻해야 제격이다. 아침이면 창호지 너머 따사로운 햇볕이 깃들어야 하고, 시린 웃풍이 불더라도 아랫목은 뜨끈한게 좋다. 전화기 너머 들려오는 주인장 목소리, 슬쩍 내어준 고구마에도 인정이 깃든다. 추운 겨울, 고택여행을 꿈꾸는 것은 따뜻함에 대한 추억과 향수 때문이다.

200년 세월의 양반 고택 조견당

주천고택 조견당은 옛스러움이 묻어나는 한옥이다. 느티나무 고목아래 안채는 1827년에 상량을 올렸으니 그 세월이 200년 가까이 된다. 안채 대청마루의 천장을 떠받친 웅장한 대들보만 봐도 당시의 위세를 짐작할 수 있다. 대들보 목재의 수령만 800년쯤 된다고 하니 언뜻 천년세월의 깊이가 가옥에 담겨 있는 셈이다.

조견당은 한 때 99칸이 넘는 규모로 중부지방 양반집을 대표하는 전통가옥이었다.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나머지 가옥들은 대부분 소실되고 현재 안채만 남아 있다. 조견당은 강원도 문화재자료 71호에 등재돼 있으며, 김종길가옥으로도 불린다.

기품이 묻어나는 안채를 살펴보면 여러가지 얘깃거리들이 쏟아진다. 안채의 동,서,남쪽 지붕 아래에는 해, 달, 별이 조형돼 있다. 동쪽 벽은 흑, 백, 황, 적, 청 등 다섯가지 색의 돌로 꾸며져 있는데 이는 조견당에 우주의 원리와 음양오행의 정신이 담겨있음을 뜻한다. 안채 옆의 커다란 너럭바위는 예전 하인들의 규율을 잡는 터로 쓰였다고 한다. 조견당의 안채가 옛 모습을 간직했다면 사랑채는 숙박용으로 새롭게 단장돼 있다. 사랑채에는 차 한 잔 마실 수 있는 별도 공간이 있다.

조견당 대청마루
조견당 해모양 문양
조견당 안채

군불 때는 영서지방 한옥 우구정가옥

남면의 우구정 가옥은 시골 전통집의 정서가 깃든 고택이다. 100년을 넘어선 옛집은 큰 자리바꿈 없이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장작을 때는 아궁이며, 아궁이 위에 가마솥까지 어렸을 적 시골 할머니댁에 놀러온 듯한 푸근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집 밖으로는 산골 밭이 펼쳐져 있고 모퉁이에는 수백년 세월을 지켜온 느티나무가 서 있고, 밭 너머로는 평창강이 고요히 흐른다. 우구정가옥은 강원도문화재자료 제70호에 등록돼 있다.

우구정 가옥은 안채, 사랑채, 헛간채로 구성된 ‘ㅁ’자 형태의 기와집이다. 자연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안채 뒤로 돌담을 두른 중부 영서지방의 전통가옥 형태를 띠고 있다. 방은 안채, 건넌방, 사랑방 등 단출하게 3개다. 이들 방들은 장작을 이용해 구들에 불을 땐다. 방 옆에는 대청마루와 툇마루가 붙어 있고 창호 문만 열면 소소한 시골 정경이 펼쳐진다.

우구정이라는 이름은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의 집주인이 ‘우구정’씨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시골집에서는 뜨끈한 방바닥에서 몸을 지진 뒤 개운한 아침을 맞는 일상이 더디게 흘러간다.

조견당에서 우구정가옥으로 가는 길목에는 영월의 명소인 한반도지형이 자리했다. 선암마을 한반도지형은 평창강과 주천강이 만나며 강물이 크게 휘돌면서 조성됐다. 전망대까지 가는 길에는 회양목군락지가 있어 호젓한 산책을 즐기기에 좋다.

우구정 가옥 외부 풍경과 고목
우구정가옥 부엌과 아궁이
한반도 지형.

여행메모

교통: 조견당은 영월 주천읍 버스터미널에서 걸어서 닿는 곳에 위치했다. 우구정가옥은 한반도면에서 영월읍내로 향하는 평창강변, 들골안길을 따라 이동하면 닿는다.

음식: 주천면에서는 지역 별미인 꺼먹돼지고기와 묵밥이 유명하다. 영월 서부시장에서는 메밀전병 등을 맛볼 수 있다.

기타: 소나기재 정상의 은 서강의 푸른 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같은 겨울 풍경을 만들어낸다. 영월읍내에서는 별자리 천문체험이 가능한 별마로천문대 등을 둘러보면 좋다.

주천 묵밥
선돌

서진 여행칼럼니스트



서진 여행칼럼니스트